사회적기업이 어려운게 경영 미숙 때문 이라구요?

사회적기업이 어려운게 경영 미숙 때문 이라구요?

[fusion_builder_container type=”flex” hundred_percent=”no” hundred_percent_height=”no” min_height_medium=”” min_height_small=”” min_height=”” hundred_percent_height_scroll=”no” align_content=”stretch” flex_align_items=”flex-start” flex_justify_content=”flex-start” flex_column_spacing=”” hundred_percent_height_center_content=”yes” equal_height_columns=”no” container_tag=”div” menu_anchor=””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atus=”published” publish_date=”” class=”” id=”” spacing_medium=”” margin_top_medium=”” margin_bottom_medium=”” spacing_small=”” margin_top_small=”” margin_bottom_small=”” margin_top=”” margin_bottom=”” padding_dimensions_medium=”” padding_top_medium=”” padding_right_medium=”” padding_bottom_medium=”” padding_left_medium=”” padding_dimensions_small=”” padding_top_small=”” padding_right_small=”” padding_bottom_small=”” padding_left_small=”” padding_top=”” padding_right=”” padding_bottom=”” padding_left=”” link_color=”” link_hover_color=”” border_sizes=”” border_sizes_top=”” border_sizes_right=”” border_sizes_bottom=”” border_sizes_left=””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box_shadow=”no” box_shadow_vertical=”” box_shadow_horizontal=”” box_shadow_blur=”0″ box_shadow_spread=”0″ box_shadow_color=”” box_shadow_style=”” z_index=”” overflow=”” gradient_start_color=”” gradient_end_color=”” gradient_start_position=”0″ gradient_end_position=”100″ gradient_type=”linear” radial_direction=”center center” linear_angle=”180″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skip_lazy_load=”” background_position=”center center” background_repeat=”no-repeat” fade=”no”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background_blend_mode=”none” video_mp4=”” video_webm=”” video_ogv=””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loop=”yes” video_mute=”yes” video_preview_image=”” render_logics=”” absolute=”off” absolute_devices=”small,medium,large” sticky=”off” sticky_devices=”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icky_background_color=”” sticky_height=”” sticky_offset=”” sticky_transition_offset=”0″ scroll_offset=”0″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3″ animation_offset=”” filter_hue=”0″ filter_saturation=”100″ filter_brightness=”100″ filter_contrast=”100″ filter_invert=”0″ filter_sepia=”0″ filter_opacity=”100″ filter_blur=”0″ filter_hue_hover=”0″ filter_saturation_hover=”100″ filter_brightness_hover=”100″ filter_contrast_hover=”100″ filter_invert_hover=”0″ filter_sepia_hover=”0″ filter_opacity_hover=”100″ filter_blur_hover=”0″][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lumn type=”1_1″ align_self=”auto” content_layout=”column” align_content=”flex-start” valign_content=”flex-start” content_wrap=”wrap” spacing=”” center_content=”no” link=”” target=”_self” min_heigh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icky_display=”normal,sticky” class=”” id=”” type_medium=”” type_small=”” order_medium=”0″ order_small=”0″ dimension_spacing_medium=”” dimension_spacing_small=”” dimension_spacing=”” dimension_margin_medium=”” dimension_margin_small=”” margin_top=”” margin_bottom=”” padding_medium=”” padding_small=”” padding_top=”” padding_right=”” padding_bottom=”” padding_left=”” hover_type=”none” border_sizes=””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border_radius=”” box_shadow=”no” dimension_box_shadow=”” box_shadow_blur=”0″ box_shadow_spread=”0″ box_shadow_color=”” box_shadow_style=”” background_type=”single” gradient_start_color=”” gradient_end_color=”” gradient_start_position=”0″ gradient_end_position=”100″ gradient_type=”linear” radial_direction=”center center” linear_angle=”180″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image_id=”” background_position=”left top”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blend_mode=”none” render_logics=”” filter_type=”regular” filter_hue=”0″ filter_saturation=”100″ filter_brightness=”100″ filter_contrast=”100″ filter_invert=”0″ filter_sepia=”0″ filter_opacity=”100″ filter_blur=”0″ filter_hue_hover=”0″ filter_saturation_hover=”100″ filter_brightness_hover=”100″ filter_contrast_hover=”100″ filter_invert_hover=”0″ filter_sepia_hover=”0″ filter_opacity_hover=”100″ filter_blur_hover=”0″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3″ animation_offset=”” last=”no” border_position=”all”][fusion_imageframe image_id=”5697|full” max_width=”” sticky_max_width=”” skip_lazy_load=”” style_type=”” blur=”” stylecolor=”” hover_type=”none” bordersize=”” bordercolor=”” borderradius=”” align_medium=”none” align_small=”none” align=”none” margin_top=”” margin_right=”” margin_bottom=”” margin_left=”” lightbox=”no” gallery_id=”” lightbox_image=”” lightbox_image_id=”” alt=”” link=”” linktarget=”_self”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icky_display=”normal,sticky” class=”” id=””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3″ animation_offset=”” filter_hue=”0″ filter_saturation=”100″ filter_brightness=”100″ filter_contrast=”100″ filter_invert=”0″ filter_sepia=”0″ filter_opacity=”100″ filter_blur=”0″ filter_hue_hover=”0″ filter_saturation_hover=”100″ filter_brightness_hover=”100″ filter_contrast_hover=”100″ filter_invert_hover=”0″ filter_sepia_hover=”0″ filter_opacity_hover=”100″ filter_blur_hover=”0″]https://seeot.or.kr/wp-content/uploads/201408280530281030781.jpg[/fusion_imageframe][fusion_text columns=”” column_min_width=”” column_spacing=”” rule_style=”default” rule_size=”” rule_color=”” content_alignment_medium=”” content_alignment_small=”” content_alignmen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icky_display=”normal,sticky” class=”” id=”” margin_top=”” margin_right=”” margin_bottom=”” margin_left=”” font_size=”” fusion_font_family_text_font=”” fusion_font_variant_text_font=”” line_height=”” letter_spacing=”” text_color=””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3″ animation_offset=””]

the value web photo gallery @flickr

사회적기업, 참 어렵다?
종종 “사회적기업 참 어렵다”는 말을 듣는다. 재밌는 것은 말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의미를 전혀 달리한다는 것이다. 굳이 나누자면 사회적기업가나 사회적기업 지원기관 실무자 등 사회적기업의 경영에 상대적으로 깊이 관여 되어 있는 사람들은 이 말을 ‘사회적기업은 경영하기 쉽지 않은 사업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바깥에서 사회적기업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사회적기업가가 경영을 잘하지 못하거나 제품 경쟁력이 없어서 사회적기업이 기업으로서 전망이 어둡다’는 의미로 이 말을 사용한다. 섣불리 일반화하기 어렵긴 하지만, 제품/서비스 경쟁력이나 경영전문성이 부족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상당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이 어려운 것은 단지 이 이유 때문만은 아니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2011년 인증 사회적기업 기준으로, 영업이익을 낸 기업은 전체의 14.1%이라는 발표를 했다. 이 글을 통해서 14.1% 만이 영업이익을 낼 수밖에 없는 그리고 사회적기업 경영이 본질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는 몇 가지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적기업은 사회 문제와 시장성을 모두 고려해서 사업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사회적기업 역시 기업체로서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영업이익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사회적기업은 그 본성상 영업이익률이 낮을 수 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무엇보다도 사회적기업은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비즈니스에 속한다. 사회적기업은 새로운 방식을 통해서 이제까지 정부나 민간기업들이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기업으로, 사회적 기업은 본질적으로 사회 문제와 시장성을 모두 고려해서 사업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보통의 영리목적의 기업은 다음의 내용을 주로 하는 시장조사를 통해서 사업기회를 포착하고 사업을 시작한다.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있는가
• 어떤 성향의 구매자가 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것이며 그러한 구매자가 시장에 충분히 많은가
• 이미 경쟁자가 이런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있지는 않은가
• 그렇다면 경쟁자가 갖고 있지 못한 다른 무언가를 제공할 수 있는가
• 구매자는 어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며 이 때 이윤이 있기는 할 것인가

그런데, 사회적기업에는 사회적기업으로서 정체성 확립에 필수적인 과정으로 사회적 문제해결이라는 한단계 더 복잡한 과정이 덧붙는다.

• 내가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인가
• 문제의 심각성과 시급성은 어느 정도이며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파급효과는 얼마나 되는가
• 문제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누구이며 이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도나 인식 상태는 어떠한가?
• 문제 해결에 동참할 사람들이 있는가

다시 말해서 사회적기업은 공익성과 이윤, 시장경쟁력 모두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게 많은 예산과 행정조직을 보유한 정부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팔을 걷어부치긴 했으나, 힘이 부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사회적기업은 고비용 사업체로서 경영전략에 있어서 선택의 폭이 매우 좁다.

사회적기업은 윤리적이고 공정하고 정의롭게 운영되어야 한다. 때문에 영리목적 기업과 달리, 사회적기업은 회사상황이 어렵다는 이유로 해고 등의 고용 유연성을 발휘하지 못한다. 고용을 승계하기 위해서 빚투성이의 대기업을 인수한 사회적기업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았어도 팀별로 해고인원을 할당해서 정기적으로 구조조정을 한다는 사회적기업 이야기를 들은 적은 한번도 없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납품업체에게 일방적으로 단가조정을 요구하기도 어려우며 제품 생산시 환경 또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의 사업 확대로 피해를 받는 사람이 있으면 직간접적인 형태로 그 사람이 입은 피해에 대한 (사회적) 비용도 보상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사회적기업은 윤리경영을 해야 하며, 납품업자에게 가급적 높은 비용을 지급하고 가끔은 필요 이상으로 좋은 원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회적기업 제품이나 서비스의 매출원가는 높을 수밖에 없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동일 규모의 영리목적기업에 비해서 지표상으로 드러나는 1인당 생산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사회적 기업의 경우 제품 생산 이후 판매 과정에 이르는 과정에서 해당 제품 생산 및 판매가 다양한 이해관계자, 환경,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기업의 소셜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 인력을 배치하는 등의 전략적 노력을 해야 한다. 일반기업에서 제품 한 단위 생산에 드는 인건비가 1이라면 사회적기업에서는 1.5 또는 2 이상이 지출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손익계산서상 인건비, 재료비 등의 판매원가에 포함되며 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내부 유보금, 민간투자자, R&D 자금..부족, 부족, 부족
주식회사라 하더라더도 사회적기업은 발생이익의 2/3 이상을 사회목적 실현을 위해서 재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기업의 내부 유보금은 영리목적 기업에 비해서 상대적・절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 내부 유보금 부족은 R&D 기반의 성장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업으로서 사업 기회에 대한 대처 능력 또한 떨어뜨린다. 즉, 사업 기회가 생긴다고 하더라도 자금 부족으로 투자를 못하는 경우기 생기게 된다. 또한 위기 상황 발생시의 대처 능력도 떨어뜨려서 비상시 외부차입 비중을 높이게 되고 이는 고스란히 기업의 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은 투자자 등에 대한 이익 배당을 제한 받기 때문에 사회적기업의 시장 경쟁력과는 별개로 사회적경제 생태계에 대규모 민간 투자 자본이 유입되기가 구조적으로 어렵다. 여기에 R&D 관련 정부 지원금도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에 사회적기업 생태계에서 ‘자본유입-기술력 향상-시장경쟁력 확보-성장’의 선순환이 일어나기 어렵다.

기적을 일구어 가는 사회적기업가들
논리적으로 사회적기업은 생존율 또는 지속가능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난이도 자체가 높을 뿐만 아니라 기업 내・외부 측면의 비용 지출 요인이 많아서 영리목적 기업에 비해서 시장경쟁력이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공개된 2012년 노동부 인증 631개 사회적 기업을 조사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업 실태 조사 연구보고서”는 이와 같은 우리의 ‘논리적’ 인식이 잘못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인증 받은 이후 2011년까지 사업을 지속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은 전체의 82.7%다. 2009년에 인증을 받은 사회적 기업 77개는 전원 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일반 신생기업의 3년 후와 5년 후 생존율(각각 41.2%, 30.2%)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수치다. 물론 정부의 직접 인건비 지원이 사회적 기업의 생존율을 높인 측면이 있지만, 2009~2011년 기간 동안 인건비 지원이 종료된 사회적 기업 101개 중 98개 기업이 계속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생존율은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의외로’ 높다. 현재 운영 중인 사회적기업의 자립가능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이미 자립했다는 응답이 전체의 20.4%, 향후 자립 가능하다는 응답이 56.7%를 차지하는 등 자립에 대한 사회적기업가들의 자신감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렇게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가능하게 만드는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고 이들과 함께 우리 사회를 보다 따뜻하고 인간답게 만들고 싶어 하는 사회적기업가들의 열정과 의지가 아닐까 한다. 때로는 이들의 열정과 의지가 너무 앞설 수도 있고 그래서 준비가 다소 부족해보일 수도 있다. 그렇다고 이들을 대기업 CEO에게 하듯이 평가하지 말기를 바란다. 오늘부터 일주일 동안 사회적기업 주간이다. 우공이 산을 옮기듯 그렇게 변화와 혁신을 일궈가는 사회적기업가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지지,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면 감사드리겠다. 이들은 충분히 잘 하고 있지 않은가.

[/fusion_text][/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