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장만 내세요.”

실패해도 괜찮아.”

도전을 막는 장벽을 없애고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청년부터 경력단절 여성인생 2막을 앞둔 중장년까지 사회혁신을 꿈꾸는 이들이 기회의 장을 만들어 가는 곳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 2022년 사회적경제 주간을 맞이하여 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 윤기영 센터장권성문 국장이기훈 주무관이승민 주무관과 함께 부천의 주변에서 중심으로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가 어떻게 부천 지역 혁신을 만들어 가는지 묻고 답해본다.

사회적경제라고 하면 어디선가 들어본 듯하지만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단어입니다시민들에게 사회적경제를 뭐라고 설명할 수 있을까요?

권성문 국장

권성문 국장

사전적 의미로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분배소비하는 모든 활동을 경제라고 합니다기존 시장경제는 생산성과 효율성에 중점을 두었고 이로 인해 소득분배 불균형인간소외 문제 등이 발생했어요.

사회적경제는 기존 시장경제가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는 경제입니다하지만 사회적경제라는 정의 자체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고범위도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한마디로 이거다라고 명확하게 정의하긴 어려울 것 같아요.

가령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에서 물건 하나를 사는 것도 사회적경제라고 할 수 있어요함께 먹고만들고일하고배우는 모든 것사회적경제가 더 깊게 뿌리내리면서 시민 스스로 자기 먹거리를 만들고 그것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틀이 단단해지고 있어요더욱 공정한 사회로 가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사회적경제죠.

하지만 시민들에게 사회적경제가 낯설게 느껴지는 점은 우리 스스로 반성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해요사회적경제가 만들어 온 일상의 변화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시민 속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게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부천시는 경기도 면적의 0.5%밖에 되지 않는 작은 도시로 전국 기초단체 중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곳입니다하루 300만 명이 부천시를 거쳐 가지만 제조 인프라는 열악하고 도시는 노후화 되었습니다그럼 부천시는 어디에서 혁신을 찾을 수 있을까요?

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는 사람에서 답을 찾았습니다우리는 사람과 사회를 잇는 사회혁신 소셜 디자이너(Social Designer)가 되어서 부천을 보다 더 합리적이고 상식적이며 인간적인 세상을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혁신은 거창한 일이 아닙니다내가 느끼는 불편함을 바꾸려는 작은 시도 하나내 아이들을 위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혁신은 우리 삶의 작은 변화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청소년청년여성중장년층노인층전 세대의 사람과 사람이 모여서 시작한 작은 혁신이 우리 지역을 일상을 더 아름답게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그것을 실행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디서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라는 막막함과 두려움에 막혀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없게 됩니다또한 거창하고 잘 만들어진 무언가가 있어야만 할 수 있다며 시작도 하기 전에 물러서기도 합니다.

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는 지난 2011년 12월에 출범해서 그 역사가 어느덧 10년을 넘었습니다하지만 아직도 많은 이들에게 낯설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인데요부천시사회적경제센터가 그동안 해온 일은 어떤 것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부천시 사회적경제센터는 2010년 12월 설립 이후 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소셜벤처 등 400여 개에 이르는 사회적경제 기업을 육성했습니다쉽게 말하면 400여 개의 기업이 새롭게 창업을 한 거죠.

혁신 인재들이 사회적경제 기업인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발굴육성을 지원했으며지속 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업의 경영 컨설팅과 상담교육과정을 지원했습니다.

기업들이 따로 또 함께 지역을 바꾸어 나갈 수 있도록 사람과 사람사람과 기업기업과 기업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죠.

단비는 가장 필요할 때 알맞게 내리는 비란 뜻의 순우리말이다.

단비는 가장 필요할 때 알맞게 내리는 비란 뜻의 순우리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