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2020 사회적협동조합 사업모델 가이드북(①거점시설 운영관리)

[협동조합] 2020 사회적협동조합 사업모델 가이드북(①거점시설 운영관리)

01. 사업모델개발 가이드북_거점시설 운영관리.pdf

2020년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사업모델 가이드북(①거점시설 운영관리)입니다.

※본 가이드북은 「도시재생 뉴딜 마을관리협동조합 육성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작되었으며, 해당 가이드북 내용 중 법제도 및 정책사업 등의 기준은 2020년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가이드북 개요

Ⅱ. 마을관리협동조합과 도시재생 거점시설
1. 마을관리협동조합의 필요성
2. 도시재생 거점시설의 이해

Ⅲ. 도시재생 거점시설 조성 계획
1. 거점시설 조성 계획
2. 조성단계별 주요 이슈

Ⅳ. 마을관리협동조합 거점시설 운영계획 수립 및 준비
1. 거점시설 운영계획 수립 주체
2. 거점시설 운영 준비 단계

Ⅴ.마을관리협동조합 거점시설 운영관리
1. 거점시설 운영관리 단계
2. 운영역량 구축
3. 운영관리를 위한 점검항목
4. 거점시설 유형별 운영관리 이슈
5.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 사례를 통한 거점시설 운영관리

Ⅵ. 지역사례
1. 제주 김영수 도서관
2. 청주 중앙동 도시재생허브센터

※ 마을관리협동조합 개요
○ 도시재생 관련 국가지원사업 추진 지역 내에서 지속적인 마을관리를 위해 주민을 조합원으로 하는 사회적협동조합으로 「협동조합기본법」에 따라 주사업 소관 부처인 국토교통부에서 설립 인가

※ 도시재생 거점시설
○ (공동이용시설)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놀이터, 마을회관, 공동작업장, 공유부엌 등 지역 주민들의 공유 공간 및 마을의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시설
○ (집객시설) 마을카페, 마을펍, 공방·공연장 등 문화예술시설 등 직역 내외의 시민들이 모이고 활동하며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용도로 조성된 시설

※ 도시재생 거점시설의 유형 예시
○ 복합시설: 이용자와 용도가 복합적인 시설
-마을회관, 주민복리시설, 노유자시설, 마을공동작업장, 도시재생지원센터 등
○ 단일시설: 단일용도와 기능으로 조성된 시설
-마을카페, 마을펍, 헬스장, 공동육아방, 도서관 등
○ 외부시설: 놀이터, 주차시설, 공원, 미관개선시설 등

※ 도시재생 거점시설의 용도
○ 마을의 안전 및 공동이용관리를 위한 시설: 마을 관리사무소, 공동 택배함, 경비실, 보안·방범시설 등
○ 주민공동체 활동을 위한 복리시설: 마을회관, 주민운동시설, 목욕탕, 독서실, 작은 도서관, 자전거 보관대, 공동육아시설, 어린이 놀이방, 공유부엌 등
○ 마을의 환경개선을 위한 시설: 쓰레기 수거 및 처리시설, 재활용품 수거시설, 공동 텃밭, 마을 정원, 마을 공원, 전망대 등
○ 지역 활성화를 위한 판매, 임대, 영업, 생산 시설: 마을카페, 마을펍, 복합문화시설, 공동판매장, 공동작업장, 공동회의실 등